목록전체 글 (198)
밤빵's 개발일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CQKRQ/btsJEpplY36/hqMzWNOATzBqYrM4dTBLq0/img.png)
솔직히 과제하면서 만들라니까 만들지... 하는 생각으로 만들면서 entity나 dto에 대해서 설명하라고 하면 어버버 하게되서 그냥 데이터 전송하고 이동하는거!! 정도로만 알고있어도 될 거 같았는데, 컨트롤러에 대해 개발일지를 쓰고나서 하나씩 쓰는것도 좋겠다는 생각이들어서 dto에대해서도 공부를 하게됐다. 사실 entity에 대해서 물었던 질문에 대답을 하지 못해서가 가장 큰 이유이긴하다. 노트북 이슈로 레벨2과제를 손으로 하게되면서 시간이 너무 부족해서 일단 dto만 정리를 먼저 하기로 했다. ▶ DTO (Data Transfer Object) 란?→ DTO (Data Transfer Object)는 애플리케이션의 서로 다른 계층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객체이다. Entity와는 별도로 정의되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xSJ4F/btsJDnrp5mF/dF7jNKbAk9kHSD5ym0ViFK/img.webp)
Controller라는걸 이해하기위해서, 그냥 이름그대로 쉽게 생각하면 되겠지 하다가도, 과제를 하면서 GPT를 계속 사용하다보니 코드가 어떻게 생겼는지는 알겠는데 컨트롤러가 하는 일을 나중에 설명할 수 있을까..? 란 생각이 들어서 정리를 하게 됐다. 이렇게 치면 서비스, 레포지토리 등등 많은걸 정리해야 할 것 같지만.. 모르는내용을 잘 흘려버리는 나는 이런 기록이 꼭 필요하기때문에 굳이굳이 컨트롤러 부터 정리를 하기로 했다. ▶ 컨트롤러(Controller)란? → 스프링에서 컨트롤러는 MVC(Model-View-Controller) 패턴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사용자 요청을 받아 처리하고 응답을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컨트롤러는 애플리케이션의 프레젠테이션 레이어에 해당하고, 요청을 적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8dQ71/btsJG5hUOyx/8jRhpaSFr8L1xZmKKVKklK/img.png)
MVC패턴에 대해서 공부하는데 밑에 계속 혼란스러운 그림이있고, DispatcherServlet 이라는 낯선 이름까지.. 쓸데없이 하나 꽂히면 파고들어서 공부할 시간 잡아먹는 성격이라 애써 흐린눈 했는데 이걸 모르면 안되는거 같아서,꼭 따로 정리해둬야지 해서 하나씩 정리하기 시작! 강의자료에 있는 그림부터 하나하나 이해해보기로 했다. ▶ DispatcherServlet 작동 과정 1. 요청(Request) → 사용자의 요청이 들어오면, 이 요청은 가장 먼저 DispatcherServlet에 도달한다. DispatcherServlet은 모든 요청을 중앙에서 처리하는 스프링 MVC의 프론트 컨트롤러 역할을 한다. 2. Handler Mapping 검색 → DispatcherServlet은 요청 URL에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3PLrH/btsJGBavAX0/MNI9bIPekIx3h33aZLldsK/img.png)
스프링에 들어오니 JAVA보다 더 어려운 내용들이 한 무더기다... 입문인데 이렇다고...? 클래스 하나가지고 다 해결하던 java에서 이제 여러가지 클래스들이 생겨나면서 강의를 들으면서 머리가 하얘지지만,나만 어려운거 아닐거야.... MVC패턴에 대해 정리하면서 강의 들은게 맞나? 싶을정도로 어렵게 느껴졌다. ▶ Spring MVC Spring MVC(Model-View-Controller) 패턴은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사용되는 주요 디자인 패턴 중 하나이다. 이 패턴은 애플리 케이션의 비즈니스 로직, 프레젠테이션 로직, 요청/응답 처리 로직을 분리해서 개발과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만든다. ▶ Model→ 역할 : 테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관리한다. 서비스 계층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Nkj4e/btsJEUCwiya/6kL5FTejt0zqHk2oFwB6g0/img.png)
이번주는 과제한다고 피곤한것도 모르고 열심히 과제를 해본 주인데, 과제 제출기한도 지키지 못하고,강의랑 병행해서 과제를 한다는게 나한테 너무 어려운 일이 되버렸다. 기한을 지키는 것도 약속인데 그걸 잘 하지 못하는 것 같아서 슬프다 ㅠㅠ 이번주는 공부방법에 대해 부캠 동료들에게 많은 조언을 듣고 받은 변화를 시도한 한 주 였다. 생각보다 긴 강의 시간과 타이트한 일정으로 강의를 듣는것도 급했지만, 코드를 뜯어보며 공부를 하는것도 중요해서 피곤하단 생각보다 이걸 해내고싶다는 의지가 더 크게 작용했다. 추천해주신 방법에 따라 코드를 뜯어보며 한줄한줄 주석처리하며 공부를 해봤고, 나중에 정재님께 시연하며 설명하기로 했었는데... 시연하며 공부를 제대로 한게 아니라는걸 깨닫게됐다. // @PutMappin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1yKz4/btsJFsYJXAE/K3KDtVcDla00fkhDvvrkB0/img.webp)
자바 5주차 강의를 안 듣고 넘어온 스프링.....람다와 스트림은 짝꿍인지 입문 강의 실습부터 심심찮게 붙어와서 기술매니저님 멘토링 시간에 람다 를 왜썼냐는 질문에 망충하게 강사님이 쓰셔서요!! 라고 대답할 순없어서 혼자서 나름 열심히 찾아봤는데 속시원한 답을 알수가 없었다 ㅠㅠㅠ 그래서 기술매니저님이 보는 코드면 무조건 다 풀어쓰고 그러고있는데 람다를 모르고 넘어가진 못할것같아서 공부했다. ▶람다식 (Lambda Expression)람다식은 메서드를 하나의 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함수를 간략하면서도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메서드를 람다식으로 표현하면 메서드의 이름과 반환값이 없어져서 익명함수라고도 한다. int[] arr = new int[5];Arrays.setAll(arr, (i)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1iDJ7/btsJFDeE9jN/6ysPIRoubkPvpUfBNGN200/img.webp)
"@Autowired : Spring FrameWork에서 종속성 주입 프로세스를 단순화 하는 어노테이션. 불변성과 테스트 측면에서 생성자 주입 권장. " 이걸 본인이 이해하고 있어요? 라는 질문에 솔직히 아니요 라고 할 수 밖에 없어서 강의 듣다가 틈틈이 내가 이해할 수 있게 찾아 봤다. GPT고 구글이고 어려운말이 많아서 바보가 된 것 같다. 종속성이란? → Data Dependency. 프로그램의 구조가 데이터의 구조에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의 종속성 때문에 데이터의 구조가 변경되면 프로그램까지 같이 바뀌는 비용이 들어서 프로그램 개발과 유지보수가 어려워진다. 데이터의 구조가 프로그램의 저장방식을 결정 하고, 프로그램의 데이터 저장방식에 따라 데이터의 저장방식이 바뀌는 것...이라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6bIe/btsJEFYCxto/5A4OZ2tPCZ4fClKY7loPT0/img.png)
오늘은 주특기 주차 테스트 시험을 본 날... 10시부터 2시까지 진행 된 시험은 3분을 남겨두고 애매하게 나왔다.빌드가 되지않아서 애플리케이션 실행도 안되니까 이게 되는 코드인지 안되는 코드인지도 알 수 가없고,시험문제는 풀어야하는데 빌드에러도 잡아야하고 멘탈이 다 갈려서 오늘 하루 무슨 공부를 했는지도 모르겠다 .[오늘 정리 내용] ▶ throw의 기능 ▷ 예외를 호출자에게 전달 : → 메서드내에서 예외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예외를 메서드 내에서 처리하지 않고 호출한 메서드로 전달하려는 경우 "throw" 사용 → 예외를 명시함으로써, 메서드를 사용하는 개발자가 이 메서드를 호출할 때 해당 예외를 처리해야 한다는 걸 알수있다. ▷ 예외 명시 → "throw"를 사용하여 메서드가 발생시킬 수 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puLWt/btsIlGlcWFd/5wnMMHZlYxaXD3MTMSFAn1/img.png)
어제 과제하다가 머리 식히러 TIL을 쓰러 왔었는데, 조잡하고 문제만 많은 글들이라 비공개 처리 중...과제 하면서 일어난 오류들을 기록했어야하는데 또 급급한 마음이 들어 넘겨버린게 아쉽다어떻게 해결된건지 적어놨으면 다신 안 잊어버릴텐데 스크린샷 폴더를 열심히 뒤져봐야 할 거 같다 .여유가되면 쓰려고했던걸 적고 수정해야될 것 같다. 과제는 완성이 된 것 같았지만... ? 필수 요구사항 중 마지막 사항을 잘 구현해내지 못했다.... 왜 그걸 확인 못 했을까 이 방법이 공부가 많이 된다고 해서 한줄한줄 공부중.원래는 강의를 들어야하는데 숙련주차 강의가 입문강의 보다 더 길다. 8시간 가까이되는 강의하나와 5시간쯤 되는 강의하나.. 걱정이 됐지만 이 공부가 강의듣기를 수월하게 해준다고 해서 강의를 듣다가 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0jRgm/btsImJBn7I1/Z0itFOLAk9mETEODnUsugK/img.png)
Spring 강의와 과제를 병행하려니 4일은 미친듯이 짧은시간이다.오늘까지 제출이였는데 결국 늦게 제출하기로 ㅠㅠㅠ.....심지어 과제가 어렵다... 몇 번을 엎었는지 어려워서 이게 내가 만드는건지 GPT가 만드는건지 GPT믿고있다가 3번을 엎었다. 이 녀석...아직 우리 친구가아니구나 ▶ 필수구현사항필수요구사항 보고 머리가 아프기시작했다. 코드는 간결해졌고, 강의는 친절한데 나는 알아듣질 못한다...? 강의를 다 들으면 할 수있다고 해서 희망을 가지고 들었는데 Spring은 입문부터 어려운 관문이다. 추가구현기능이 있어서 이 기능까지 꼭 해보고 싶었는데, 필수 요구사항도 맞출 수 있을까?로 과제를 시작했다 . 예전에 기술매니저님 조언으로 설계가 모든프로젝트의 시간과 비중이 70~80% 정도 된다고 하..